도메인(Domain)과 DNS(Domain Name System)는 인터넷에서 웹사이트를 찾고 접속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이 둘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역할과 관계를 이해하면 도메인 네임이 어떻게 IP 주소로 변환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1️⃣ 도메인(Domain)이란?
도메인은 웹사이트의 주소 역할을 하는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문자열입니다.
예를 들어:
- www.google.com
- www.naver.com
도메인은 IP 주소(예: 122.250.94.14)를 대신하는 식별자 역할을 하며,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쉽게 기억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도메인의 구성
도메인은 여러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예시: www.example.com
- com → 최상위 도메인(TLD, Top-Level Domain)
- example → 2차 도메인(Second-Level Domain)
- www → 서브도메인(Subdomain)
2️⃣ DNS(Domain Name System)란?
DNS는 도메인을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입니다.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브라우저는 DNS 서버에 도메인의 IP 주소를 요청하고, 해당 IP 주소로 연결하여 웹사이트를 불러옵니다.
🔹 DNS의 역할
1. 사용자가 www.example.com에 접속하려고 함
2. 브라우저가 DNS 서버에 "example.com의 IP 주소가 뭐야?"라고 질문
3. DNS 서버가 해당 도메인의 IP 주소(예: 192.168.1.10)를 반환
4. 브라우저가 반환된 IP 주소로 웹서버에 접속하여 웹사이트를 표시
DNS가 없다면, 사용자는 숫자로 된 IP 주소를 직접 입력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합니다.
3️⃣ 도메인과 DNS의 관계
- 도메인은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주소
- DNS는 해당 도메인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 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
즉, 도메인은 인터넷 상의 주소이고, DNS는 그 주소를 IP로 변환하는 지도 역할을 합니다.
4️⃣ 추가 개념: DNS 레코드 종류
DNS는 여러 개의 레코드(Record)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 특정한 역할을 합니다.
레코드 | 타입역할 |
A 레코드 | 도메인을 IPv4 주소로 매핑 |
AAAA 레코드 | 도메인을 IPv6 주소로 매핑 |
CNAME 레코드 | 도메인을 다른 도메인으로 연결 (별칭) |
MX 레코드 | 이메일 서버 정보 지정 |
TXT 레코드 | 도메인에 대한 추가 정보 저장 (예: SPF, DKIM) |
'IT 개발자의 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용어 : MGT, ILO (1) | 2025.03.21 |
---|---|
첨단 주행 보조 소프트웨어 FSD: 미래 자동차 기술의 핵심 (3) | 2025.03.07 |
양자기술이란? 미래를 바꿀 혁신 기술! (1) | 2025.03.05 |
gRPC: 고성능 원격 프로시저 호출(RPC) 프레임워크 소개 (3) | 2025.02.28 |
CMAF란 무엇인가? 영상 스트리밍의 새로운 표준 (1) | 2025.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