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은 AI 기술의 폭발적 성장과 기술주 중심의 강세장이 맞물리며 투자자들에게 황금기였습니다. 특히 엔비디아의 238% 상승을 필두로 메타 (197%), 테슬라 (112%), 아마존 (83%) 등 주요 테크 기업들이 두드러진 성과를 보였습니다.
2023년 주요 포트폴리오 분석
해당 종목은 신규 매수 이 후 매월 25일 적립식 투자로 정기 매수를 진행함.
엔비디아 (NVDA) : AI 열풍의 최대 수혜자
- 주가 상승 요인:
- AI 반도체 수요 폭증: ChatGPT 등 생성형 AI 기술 확산으로 고성능 GPU 수요 급증
- 시장 독점력: 데이터센터 및 클라우드 시장에서 90% 점유율로 독보적 위치
- 재무 성장: 2023년 매출 269억 달러(전년 대비 126% 증가) 기록
- 매매 전략 평가:
- 초기 진입 타이밍: 2023년 2월 초 매수를 통해 AI 붐 초기 단계 포착 성공
(엔비디아 GPU 카드에 관한 Youtube 영상을 보고 매수를 시작) - 단계적 매도: 주기적으로 분할 매도를 통해 37.5% ~ 73.7%에 이르는 높은 수익률을 실현 (23년 12월 최종 매도)
- 초기 진입 타이밍: 2023년 2월 초 매수를 통해 AI 붐 초기 단계 포착 성공
메타 (META): 효율화 전략의 승리
- 주가 상승 요인:
- AI 광고 플랫폼 강화: 메타 AI 도입으로 광고 타겟팅 정확도 향상.
- 경영 효율화: 2023년 임직원 21% 감축으로 수익성 개선.
- 매매 전략 평가:
- 안정적 수익 실현: 19~30% 수준에서 단계적 매도로 리스크 관리 (23년 3월 초 메타의 회복기 시점에 매수 시작)
- 추가 수익 실현 기회: 연말까지 보유하여 24년까지 추가 수익을 기대함
테슬라 (TSLA): 변동성 속에서의 기회 포착
- 주가 변동 요인:
- 전기차 시장 경쟁 심화: GM, 포드 등 전통 제조사 진출로 가격 경쟁 격화
- FSD 기술 기대: 완전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버전 12 출시 예고로 12월 주가 반등
- 매매 전략 평가:
- 장기 포지션 유지: 변동성 속에서도 20~38% 수익 실현 후 잔고 유지로 추가 상승을 기대함
2023년 투자 종합 평가
- 다각화: 엔비디아, 메타, 테슬라, 아마존, 유니티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기술 기업에 투자하여 리스크를 분산
- 정기적 매수: 매월 25일 정기 매수 전략으로 달러 코스트 애버리징 (정기적으로 동일한 금액을 투자하여 시장 변동성을 줄이고, 평균 매입 단가를 안정화하는 투자 전략) 효과를 추구
- 유연한 이익 실현: 주가 상승 시 일부 매도로 이익을 실현하면서도 추가 상승의 기회를 유지함
- 시장 트렌드 포착: AI 붐과 같은 주요 시장 트렌드를 잘 포착하여 높은 수익률을 달성
- 리스크 관리: 엔비디아의 경우 연말에 전량 매도하여 고점 근처에서 이익을 확정
향후에는 2024년 미국 포트폴리오 복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참고로 2024년 12월 말 미국 포트폴리오는 모두 정리한 상태로 현재는 해외 투자를 진행하고 있지 않습니다.
위험은 예상할 수 없는 곳에서 오지 않습니다.
항상 예측 가능한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이 투자의 핵심입니다.
– 피터 린치
'주식투자와 경제지식 > 포트폴리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복기 : 2024년 AI 랠리와 불확실성의 공존 (3) | 2025.03.28 |
---|---|
비트코인, 이더리움, 솔라나 그리고 업비트 스테이킹 투자 전략 (4)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