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과 금융지식

대출금리를 결정하는 기준금리, 가산금리, 우대금리

뉴스를 보다보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했다거나 인상했다는 뉴스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기준금리의 상승은 예금이자와 대출이자가 모두 상승으로 이어져 대출받는 사람은 줄고, 예금하려는 사람은 증가한다. 이로 인해 시중에 유통되는 돈의 양이 줄어들게 되어 돈의 가치가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기준금리의 하락은 예금이자와 대출이자가 모두 낮아지는 것으로 이어져, 예금하려는 사람보다 대출받는 사람이 많아지게 된다. 이는 시중에 유통되는 돈의 양을 증가시켜 돈의 가치는 떨어진다.

 

즉, 금리의 상승/하락은 돈의 가치가 오르고 내리는 것과 동일하다.

그런데, 기준 금리가 인하되어도 대출금리는 오히려 상승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그 이유를 알기 위해서는 대출금리가 어떻게 정해지는 지를 알아야 한다.

 

대출금리 = 기준금리 + 가산금리 - 우대금리

 

여기서 기준금리는 위에서 말한 한국은행이 결정하는 기준금리가 아니다.

그래서, 대출 시에 산정되는 이율 기준 안내를 받을 때, 기준금리가 반영이 안되었나? 혹은 잘못 된건가?라고 의심을 하게 된다.

 

대출금리에 많이 이용되는 기준금리는 주택담보대출과 같은 장기대출의 경우 Cost of Funds Index (COFIX)를 신용대출과 같은 단기 대출은 Interbank Offered Rates (KORIBOR)를 활용한다.

 

최근 공시 COFIX 2021년 11월 5일 기준

즉, 은행은 한국은행으로부터도 돈을 빌리지만, 고객 예치금, 채권 발행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금을 조달하기 때문에 다양한 방법으로 조달한 자금의 평균 금리를 산정하여 이를 대출 시의 기준금리로 책정한다고 이해하면 될 것이다.

 

가산금리는 대출에 소요되는 업무원가, 법적 비용, 위험 프리미엄 등이 추가된 금리이다.

업무원가나 법적 비용 등은 실제로 은행이 대출로 얻는 수익을 반영한 것이라고 보면 되고, 위험 프리미엄은 대출자의 신용도를 반영한다.

대출자의 신용도가 낮으면 대출 원금을 못 갚을 확률이 신용도가 높은 사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이율을 더 붙여서 대출원금을 회수하지 못했을 경우를 대비한다.

 

우대금리는 대출을 빌려준 은행과의 거래 실적에 따라 일종의 위험 프리미엄을 상쇄시키는 효과를 반영한 것이라고 보면된다.

예를 들면 급여이체, 관리비 자동이체, 신용카드, 적금 가입 등 은행 거래를 통해 은행에게 또 다른 이익을 창출할 기회를 주는 비용을 상쇄시켜 준다.

 

그러나, 주거래 은행이라고 해서 타은행에 비해 가장 싸다고 단정할 수 없다.

 

은행들은 매년 대출 증가, 부수거래 증가 등의 경영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대출금리를 탄력적으로 조정한다.

그래서, 초반에 대출금리를 낮춰서 대출액을 어느 정도 확보하면 다시 대출금리를 늘려서 추가 대출을 억제한다.

대출이 지나치게 증가한 경우 금융당국에서 대출 규제를 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