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와 경제지식

주주환원의 대표적 방법인 배당금과 자사주 매입/소각

주주환원의 대표적인 방법: 배당금 or 자사주 매입/소각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 일부를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대표적인 방법은 배당금과 자사주 매입이 있다.

 

시장 가치가 100억으로 평가 받는 A라는 기업이 있다. 이 기업의 주식수는 100만주이고, 시장가치를 반영한 주가는 1만원이다.

시장가치: 주식시장 참여자들이 기업가치를 평가한 결과 (주식수 * 주가)

 

이 회사가 배당금으로 20억원 (주당 2000원)을 지급한다고 하자. 20억원의 현금을 지출함으로 인해 회사의 시장 가치는 80억원으로 감소하고, 주가는 8000원으로 떨어진다. (대체로 배당지급 기준일에 주가가 하락하는 배당락으로 반영된다) 그러나, 주주들 입장에서는 주당 2000원을 배당받기 때문에 주주가치는 주당 1만원이 된다. (하지만 여기서도 배당소득세 15.4%가 있다는 것은 생각해 봐야 한다.)

배당지급일을 기점으로 그 날 주식 사서 배당 받는게 좋은지, 배당을 포기하고 배당락 적용된 이 후에 사는게 좋은 지 물어보는 경우가 많은데, 시장 참여자들이 배당락을 얼마나 적용할지는 알 수 없고, 이론적으로 배당락이 적용된다고 하면 배당세율 정도의 차이가 있는 것이니, 언제 사든 이론적 시장가치는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다음은, 이 회사가 20억원으로 자기 회사 주식 20만주를 사들이는 자사주 매입은 어떨까?

자사주 매입은 비용이 아닌 자산의 이동이다. 즉, 현금에서 주식으로 20억의 자산의 형태가 이전되는 것으로 시장 가치는 100억으로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주식수 (의결권이 있고 배당을 받을 권리가 있는 주식)는 80만주로 줄어든다.

이 기업의 순이익이 20억원이라고 한다면 주당 EPS는 자사주 매입 전 2000원 (순이익/주식수)으로 PER 5 (주가 / EPS) 의 시장 평가를 받고 있었다. 주식수가 80만주로 감소하게 되면, EPS는 자사주 매입 후 2500원으로 PER 5의 시장 평가를 반영하면 주가는 12,500원이 될 것으로 기대하게 된다.

 

배당의 경우는 배당락으로 바로 주가에 반영되는 경우가 많은데, 자사주 매입은 바로 주가에 반영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왜냐하면 자사주 매입의 경우는 자사주 소각으로 이어져서 자사주 매입 물량이 다시 유통물량으로 나오는 일이 없도록 해야 완벽하게 마무리 되기 때문이다.

 

기업은 왜 배당보다 자사주 매입을 선호할까?

배당은 규칙적으로 지급되는 특성이 있다. 주주들은 배당금이 갑자기 크게 바뀌는 것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그래서 경영자는 배당 수준을 꾸준히 유지할 수 있다고 확신하지 않는 한 배당을 늘리는 것에도 매우 신중하다. 반면 주주들은 자사주 매입을 일시적인 것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이익의 변화가 큰 기업일수록 배당에 따른 부담감을 느끼기보다 필요할 때 자사주 매입을 하는 것을 선호한다.

자사주 매입의 또 다른 중요한 이유는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는 것을 시장에 알리기 위한 목적도 있다. 해서입니다. 시장에서 형성된 주가가 회사가 자체 평가한 주가보다 싸다면 자사주를 매입하는 게 회사로서도 매우 좋은 선택이다. 나중에 주가가 오른 후 되팔면 이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자사주 매입이 반드시 자사주 소각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기에 자사주 매입 자체로 시장의 평가가 바로 반영되지 않는 것이기도 하다)

또 다른 이유로 지배 주주의 경영권을 안정시키기 위한 목적이다. 의결권이 없는 자사주를 매입하면 그 만큼의 의결권 수가 감소하여, 상대적으로 기존 최대 주주의 지배력이 커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영권이 위협받을 때 자사주를 우호적인 주주에게 팔 수도 있다. 의결권이 되살아나면서 우호 세력의 의결권이 커지는 효과이다. 또한, 자사주 매입으로 유통 주식 수가 줄면, 지배력을 확보하려는 주주는 주식을 더 비싸게 사들여야 하고, 이는 외부 주주가 지배권을 확보하기 어렵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회사의 잉여 현금을 소모하기 위해서이다. 회사에 현금이 많이 쌓이면 경영자는 무분별하게 사업을 확장하거나 개인적으로 회사 자금을 허비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주주들은 잉여 현금을 주주들에게 나누라고 요구할 수 있다.

 

 

주주환원의 본질은 기업의 성장

최근 주주환원 정책으로 배당금과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하는 기업들이 늘어가고 있다.

그러나, 주가 상승의 가장 중요한 것은 기업의 본질적인 능력을 향상하는 것이다. 새로운 투자처를 발굴하고, 신기술이나 제품 개발에 투자하고,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유능한 인재를 고용하거나 교육 훈련을 통해 능력을 향상시키는 활동 등이 더 중요하다.

그러나 이런 활동의 효과는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나타난다. 이런 활동의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3년이나 5년쯤 기다려줄 수 있는 장기 투자자들은 이런 활동을 선호하겠지만 주식시장에 투자하는 사람들의 절대다수는 단기 투자자들이다. 펀드매니저들도 자신의 임기 동안에 성과를 내기를 원하므로 매우 근시안적으로 행동한다. 이들이 경영진을 압박하는 강도가 최근 더 세지고, 자신의 임기 내에 주가가 상승한다는 것을 보여줘야 하는 경영진도 점점 더 단기적으로 행동하는 성향이 강화되고 있는 추세다.

 

무엇이 옳은지의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판단이다.